경고 : 레지스트리 조작에는 백업이 필수입니다! 다음 사례를 참고
1. 오늘 TabProcGrowth를 삭제할 경우 IE가 시작과 동시에 죽는 현상이 발견되었다.
2. SysInternals의 ProcMon.exe 로 TabProcGrowth 레지스트리를 확인해보니 IE가 다음 2곳의 레지스트리에도 접근하는 것을 확인하였다.
2.1. HKEY_LOCAL_MACHINE\SOFTWARE\Wow6432Node\Microsoft\Internet Explorer\Main
2.2. HKEY_CURRENT_USER\Software\Classes\VirtualStore\MACHINE\SOFTWARE\Wow6432Node\Microsoft\Internet Explorer\Main
3. 위의 레지스트리도 삭제한 후에 정상동작을 확인했다.
4. 위의 레지스트리 값이 있으면 삭제하도록 수정된 레지스트리 파일과, IE가 안 뜰 경우를 대비해 TabProcGrowth를 0으로 설정하는 레지스트리를 추가했다.
계속 설치해도 또 설치하라고 뜨는 현상이 대부분.
원인이야 여러가지 있겠지만, 결과적으로 IE가 64비트로 실행되기 때문이다.
Internet Explorer 9
이 경우는 먼저 IE 바로가기의 경로를 먼저 확인해봐야 한다.
IE 바로가기의 속성에서 "대상"이 "C:\Program Files\Internet Explorer\iexplore.exe" 로 되어 있으면 "C:\Program Files (x86)\Internet Explorer\iexplore.exe" 으로 수정하여 32비트 IE를 실행하도록 한다.
이것은 64비트 윈도우에서 IE9를 사용할 경우에만 적용된다.
Internet Explorer 9 & 10
또 한가지는 LCIE(Loosely Coupled Internet Explorer)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경우다.
Windows 8 사용자라면 90% 이상은 이 문제일 것이라고 생각한다.
LCIE와 관련된 값은 여러가지가 있지만, 내가 지원했던 사용자는 다 TabProcGrowth 레지스트리 문제였다.
1. 다음 레지스트리에 TabProcGrowth가 있으면 삭제한다. (어려우면 첨부된 LCIE 활성화 레지스트리 파일 사용)
- HKEY_CURRENT_USER\Software\Microsoft\Internet Explorer\Main
- HKEY_LOCAL_MACHINE\Software\Microsoft\Internet Explorer\Main
2. 만약 IE가 실행되지 않을 경우, 다음의 위치도 확인하여 TabProcGrowth가 있으면 삭제한다. (2013년 06월 03일 추가)
- HKEY_LOCAL_MACHINE\SOFTWARE\Wow6432Node\Microsoft\Internet Explorer\Main
- HKEY_CURRENT_USER\Software\Classes\VirtualStore\MACHINE\SOFTWARE\Wow6432Node\Microsoft\Internet Explorer\Main
3. 그래도 안되면 포기하고 LCIE 비활성화 레지스트리 파일을 사용하여 TabProcGrowth를 설정한다. (원복은 아니지만 비슷한 개념)
LCIE 활성화 레지스트리
LCIE 비활성화 레지스트리 (LCIE 활성화 후 IE가 동작하지 않으면 원복을 위해 사용)
안랩에서 배포하는 프로그램- 추천
안랩에서도 IE 64비트 실행을 방지하는 프로그램을 내놨네요. 삼성카드에서 배포하는 것을 보고 가져왔습니다.
아무리 수정해도 악성 툴바들이 매번 원복시키는 경우가 골치 아팠는데, 안랩에서 배포하는 것이니 이런 것에 대한 처리가 잘 되어 있겠죠?
IE가 64비트로 실행되는 경우 정리 (참고한 사이트)
기본 내용 참고 사이트
- 2가지 모드의 Internet Explorer 10 과 ActiveX
- 64비트 윈도우에서 Internet Explorer 10 이 항상 64비트로만 실행된다면?
- Internet Explorer 10 32비트 실행
- IE10 자동 업데이트와 64비트 ActiveX 호환성 문제
[출처] IE10 자동 업데이트와 64비트 ActiveX 호환성 문제|작성자 안재우